본문 바로가기
공부일기

무역영어 1급 독학해보자

by chipmunkk 2022. 8. 30.

시작해야지, 시작해야지.

1년을 가까이 다짐해도 쉽사리 발을 떼지 못했었다.

 

공부든 뭐든 혼자 마음을 다 잡고 해내는 것은 정말 힘든 일인 것 같다.

예전에는 퇴근 후 학원에 다니면서 시간을 들이니 자격증을 탈락 없이 바로 땄었다.

강제로라도 분위기가 형성되면 공부하기는 쉬운데, 또 요즘은 학원 알아보기도 어렵다.

(스스로 생각하기에도 변명 같지?)

 

무역영어는 특히 2020년인지 2021년부터 따겠다고 다짐했었다.

책도 너무 두껍고 인터넷 강의까지 결제했는데 돈만 낭비해버렸다.

 

그런 무역영어를 다시 시작해보려고 한다.

혼자 독학해보려고 한다.

책이 총 두 권인데, 한 권만 해도 730 페이지다.

 

나도 내가 언제까지 할 지 모르겠지만 그래도 공부하면서 기록하면 조금이라도 남는 게 있을 것 같다고 생각했다.

두 달 안에 해치워버리는 게 목표다.

이 폴더는 무역영어를 공부하다가 한번 더 기억해두고 싶은 내용들을 업로드할 예정이다.

 

그게 끝나면, 올해 2월에 오픽 IH를 땄는데, 연말부터 다시 준비해서 내년에 AL을 해내고 싶다.

그리고 예전부터 공부했던 스페인어도 다시 시작하기로 했다.

(배워도 자주 안 쓰면 금방 까먹어버린다는 걸 알지만, 그래도 자기만족 아니겠어요?)

 

무역계약은 계약을 체결하고자 제안을 하는 자와 그 제안에 대해 동의를 하는 자의 의사합치로 이뤄진다. 개인의 상황에 따라 무역계약이 성립되기까지의 절차는 상이할 수도 있으나, 일반적으로는 수출을 기준으로 하여 매도인의 시장조사 → 거래처의 선정 → 거래의 제의 → 청약 → 승낙의 순서대로 이뤄진다.

<정재환 관세사의 무역영어 (2쪽)>

 

계약을 체결하고자 제안을 하는 자 = 청약자 = offeror = 통상 매도인 seller이나 수출자 exporter

그 제안에 대해 동의 acceptance 승낙을 하는 자 = 피청약자 = offeree

거래선 선정 selection of business partner: 해외 시장 조사 통해 거래선(거래 파트너/수입자) 결정

거래 제의 business proposal: 제의 시 일반적으로 신용조회처 credit reference 함께 명시

거래 제의에 대한 문의 trade inquiry

신용 조회 credit inquiry: 발생 가능한 신용위험 방지 목적, 3C(character 상도덕, capital 자본, capacity 영업능력 및 연매출) 조회, 직접 조회/거래은행 통해 조회/KOTRA-무역협회-해외전문신용조회기관 통해 조회 가능

Character 성실성

Capital 자본능력

Capacity 영업능력

Country 국가

Currency 통화

Condition 거래조건

Collateral 담보능력

계약의 성립 formation of the contract

청약 offer

댓글